Translation of Articles from The Economist - Most of India’s state-owned firms are ripe for sale or closure (Jun 1st 2017)
Business and bureaucracy
산업과 관료주의
산업과 관료주의
Most of India’s state-owned firms are ripe for sale or closure
대부분의 인도 국영 기업들은 매각 혹은 폐쇄될 시기가 무르렀다.
Privatisation and politics sit poorly together
민영화와 정치가 형편없이 공존한다.
Jun 1st 2017| MUMBAI
EARTH movers, fertiliser, artificial limbs, uranium, rickshaws, hotels, textiles, tea, mutual funds, petrol, broadband, pills, coal, fighter jets, sex toys and much more beside: the range of products and services purveyed by Indian state-owned firms would put even the most sprawling of conglomerates to shame.
Privatisation and politics sit poorly together
민영화와 정치가 형편없이 공존한다.
Jun 1st 2017| MUMBAI
EARTH movers, fertiliser, artificial limbs, uranium, rickshaws, hotels, textiles, tea, mutual funds, petrol, broadband, pills, coal, fighter jets, sex toys and much more beside: the range of products and services purveyed by Indian state-owned firms would put even the most sprawling of conglomerates to shame.
흙 파는 기계(earth movers), 비료, 의수(artificial limbs), 우라늄, 인력거, 호텔, 섬유, 차, 뮤추얼 펀드, 휘발유, 광대역, 알약, 석탄, 전투기, 성인용품, 그리고 훨씬 많은 다른 것들: 인도 국영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의 범위는 거대 복합 기업의 최대 뻗어나감마저 부끄럽게 할 것이다.
A legacy of India’s socialist years from 1947 until the early 1990s when the country shifted towards a more market-based economy, few of the 244 “public-sector undertakings” (PSUs), as the government calls them, are paragons of productivity.
시장중심경제 방향으로 변해갔던 1947년부터 1990년대 초까지 인도 사회주의 시절의 유산인, 244개의 "공공부문사업(PSU, 인도 정부가 지칭하는 이름)"들 중 생산성의 모범으로 남아 있는 것은 거의 없다.
Plans to slim down their collective girth, and so leave more room for the private sector in India’s economy, are as tentative as they are overdue.
인도 경제에 민간 부문에 좀 더 여유를 주기 위해 그들 전체의 군살을 빼기 위한 계획들은 늦은 만큼이나 확실하지도 못하다.
Roughly one in six of every rupee spent goes to a PSU. 대략 루피 총 소비액의 1/6이 1개의 PSU로 간다.
Roughly one in six of every rupee spent goes to a PSU. 대략 루피 총 소비액의 1/6이 1개의 PSU로 간다.
Only in China’s avowedly communist economy does a greater share of spending go to state-owned firms.
중국의 공공연한 공산주의 경제에서만이 이러한 국영기업에 대해 더 높은 비율을 가지고 있다.
Often run by executives who have risen through the government bureaucracy, they eke out profits mostly in industries where government fiat grants them lucrative monopolies, such as coal and oil.
정부의 관료제로 승진한 경영진들로 운영되며, 그들은 대부분 정부의 명령으로 수익성이 좋은 독점사업을 허가 받은 산업들에서 수익을 뽑아 낸다.
Even in a buoyant economy, one in three made losses in the year ending in March 2016.
심지어 경기가 활화이었던, 2016 3월, 연말에 그들 중 3분의 1이 적자를 냈다.
One in five has racked up three years of straight losses including BSNL, a telecoms operator which offers 3G services in a market where 4G ones are the norm.
국영기업 중 5분의 1은 3년 연속 적자를 냈다. 이들 중에는 통신사인 BSNL도 포함되는데, 4G가 표준인 시장에서 3G 서비스를 제공한다.
Another example is Air India, a financial black hole that flies habitually-delayed aeroplanes.
습관적으로 연기되는 비행기들을 날리는 Air India는 또 다른 예로, 재정 블랙홀이라고 할 수 있다.
That 1.2m Indians toil in companies that form part of the relatively unproductive PSU sector, a traditional mainstay of formal employment, is largely seen as a benefit, not a problem.
습관적으로 연기되는 비행기들을 날리는 Air India는 또 다른 예로, 재정 블랙홀이라고 할 수 있다.
That 1.2m Indians toil in companies that form part of the relatively unproductive PSU sector, a traditional mainstay of formal employment, is largely seen as a benefit, not a problem.
공식 고용(formal employment)의 전통적인 중심인, 상대적으로 비생산적인 PSU 부문의 일부를 구성하는 회사에서 120만 인도인들이 일한 다는 것은, 대체로 문제라기 보다는 혜택으로 여겨진다.
But if labour is abundant in India, capital is not, and state-owned firms guzzle it.
하지만, 인도가 노동이 풍부하고, 자원이 그렇지 못하다면, 국영기업은 그것을 빨아들일 것이다.
The assets they sit on are worth an estimated $500bn.
국영기업이 소유한 자산규모는 약 5천조 달러로 추정된다.
Excluding four firms that have lucrative state-mandated monopolies, their return on capital employed is a meagre 8% and falling.
국가가 지정한 수익성이 높은 독점사업을 가진 네개의 기업을 제외하면, 나머지 국영기업의 자본이익률은 변변치 않은 8%이고, 떨어지고 있다.
Most gauges of financial returns have been on a long decline (see chart).
대부분의 재무 수익률은 오랜 기간 하락세였다.(차트 참조)
That spells rapid value destruction in a country where a company’s weighted cost of capital is usually in the double digits.
이는 한 기업의 가중자본비용이 주로 두자리 수인 국가에서 급격한 가치파괴를 형성했다.
Not all are financial disasters.
이는 한 기업의 가중자본비용이 주로 두자리 수인 국가에서 급격한 가치파괴를 형성했다.
Not all are financial disasters.
모두가 금융재앙은 아니다.
Some 80% of the total profit made by state-owned firms, or 1.2trn rupees ($18bn), comes from coal, petroleum products, power generation and oil PSUs.
국영기업이 만드는 총수익의 80% 정도, 1.2조 루피(18조 달러)는 석탄, 석유제품, 전력 발전, 그리고 석유 관련 PSU에서 나온다.
They receive regulatory protection that helps them relative to private-sector rivals.
국영기업은 민간부문의 경쟁자에 상대적으로 국영기업을 도와주는 규제 보호를 받는다.
That does not mean they are efficient: Coal India, the biggest PSU by most measures, reportedly has an output per man-shift that is just one eighth that of Peabody Energy, an American rival.
이는 그들이 효율적이란 의미는 아니다: 대부분의 측정치로 봤을 때, 가장 큰 규모의 PSU인 Coal India는 전하는 바에 따르면, 미국 라이벌 기업인 Peabody Energy에 비해 8분의 1정도의 노동생산성을 갖고 있다.
India has both funded a PSU domestic jet-fighter programme at vast expense, and bought similar jets from a French supplier, Dassault Aviation, when the homemade plane failed to meet the air force’s needs.
인도는 자국 생산한 전투기가 자국 공군의 수요에 충족하지 못하자, 큰 비용을 들여PSU 자국 전투기 프로그램에 자금을 조달했고, 프랑스의 공급업체인, Dassault Aviation로부터 비슷한 전투기를 구입하기도 했다.
Worse problems arise when flat-footed PSUs face the market.
Worse problems arise when flat-footed PSUs face the market.
PSU들이 시장을 직면할때 더욱 심각한 문제는 발생한다.
The economic liberalisation of the early 1990s introduced competition in many consumer-facing industries.
1990년 초의 경제 자유화는 다양한 소비재 산업 부문에서 경쟁을 도입하였다.
This shunted PSUs off the commanding heights of their respective parts of the economy.
이는 경제 각 부분의 전망좋은 고지에서 PSU들을 좌천시켰다.
Air India (the only airline whose cabin livery makes a brand-new Boeing Dreamliner appear mired in the 1970s) has lost money continuously since 2007, barely managing an operating profit even after a crash in the price of aviation fuel propelled its private-sector rivals, such as Jet Airways, to vast riches.
Air India (1970년대 객실 색깔로 신상 보잉 797 드림라이너를 진흙 묻은 것 같이 보이게 만들었던 유일한 항공사) 2007년 이래로 계속해서 적자를 냈고, 민간 부문 경쟁업체인, Jet Airways가 항공연료 가격 폭락으로 엄청난 부를 쌓을 수 있었 던 때에도 영업이익을 겨우 냈었다.
Mostly, PSUs have drifted from monopolist to bit-player.
대체로 PSU는 독점기업에서 조역으로 바뀌어 왔다.
Air India is a fading force.
Air India는 약해지는 힘이다.
Few Indians willingly use PSU telecoms providers.
PSU 통신사를 자진해서 이용하는 인도사람은 거의 없다.
Public ports have gone from handling nearly three-quarters of stuff being shipped in and out of India less than a decade ago to just over half now.
공공 항구들은 인도 전체 물동의 거의 3/4을 다루던 상태에서 이제 가까스로 1/2을 담당한다.
HLL Lifecare went from being a monopolist condom-maker to an also-ran, hence its more recent foray into vibrating gizmos.
HLL Lifecare는 독점 콘돔생산기업에서 낙오됐고, 최근에는 자위기구 생산으로 진출하기도 했다.
State-owned banks are in a league of their own in terms of dominating their sector: they form a network of 21 listed but government-controlled entities that account for 70% of India’s banking system by assets.
국영기업은 해당 산업에 대한 지배력 측면에서 각기 독보적이다: 자산기준 인도의 은행 시스템의 70%를 차지하는 상장되었지만, 정부가 통제하는 21개 기업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Many of their loans are unlikely to be repaid, a state of affairs that private lenders usually manage to avoid.
국영기업의 대출 중 많은 부분이 상환가능성이 적은데, 민간 기업의 대출이 가까스로 이러한 상황은 피한다.
The latter are growing at a rapid clip: they are responsible for nearly all the growth in the financial system.
후자는 급격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들은 금융시스템에서 거의 모든 성장에 대해 책임이 있다.
In the early part of 2016, the market capitalisation of all 21 listed public-sector banks was on a par with that of a single private rival, HDFC Bank, set up back in 1995.
2016년 상반기에는, 모든 21개의 상장된 공공섹터 은행의 시가총액이 1995년에 설립된 한 개의 민간 기업 라이벌, HDFC 은행과 동등했다.
The result is what Ruchir Sharma of Morgan Stanley, a bank, calls “privatisation by malign neglect”: the PSUs stay in state hands, but their market share (and their value) seeps steadily to nimble newcomers.
이 결과는 모건스탠리 은행의 Ruchir Sharma가 "악성 태만으로 인한 민영화"라고 부르는 것이다: PSU들은 국가의 수중에 있지만, 그들의 시장점유율은 민첩한 신규시장진입자에게 스며든다.
Soft loans, subsidies and bail-outs keep them afloat, protecting unproductive jobs at vast expense.
소프트 론, 보조금, 구제금융은 비생산적인 일자리를 큰 비용으로 보호하면서 국영기업들이 도산 당할 것을 막는다 .
Such neglect has resulted in pockets of acute financial distress.
이러한 태만이 극심한 재정고에 여유를 안겨주는 결과를 초래해왔다.
Nearly two dozen PSUs have loans greater than their total assets; 84 generate too little operating profit to cover the interest on their borrowings.
거의 20개 정도의 PSU들이 자신의 자산 총액보다 더 많은 대출을 지니고 있다; 84개는 이자상환하기에는 부족한 영업이익을 낸다.
And PSUs owned by India’s 29 state governments, of which there are thought to be over 1,000, are if anything in worse shape.
그리고 인도의 29개 주 정부가 소유한 PSU들 중 1000개 이상이 오히려 상황이 더 심각하다.
A recent bail-out of local power distribution companies, which traditionally have overlooked non-payment of bills by customers whose votes politicians craved, has resulted in a vast and costly debt restructuring which has weighed heavily on the public finances.
지역 배전 회사들은 정치인들이 간절히 바라는 표를 가진 고객에 의한 미납에 대해서 전통적으로 간과해 왔다. 지역 배전 회사들에 대한 구제금융 공공재정에 크게 가중을 둔 광범위하고 비싼 채무 구조조정을 초래했다.
Poor performance by PSUs is hardly surprising given the way in which they are managed.
PSU의 형편없는 실적은 그들이 관리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보면 놀라울 일은 아니다.
A report from the authorities in 2011 described how “over-governance promotes conservative, cautious and risk-averse organisational culture, with procedures being paramount and outcomes secondary.”
2011년 당국의 보고서는 어떻게 "과잉지배(over-governance)는 절차가 가장 중요해지고 결과가 부차적이되는 보수적이고, 조심스럽고 위험회피적인 조직문화를 촉진시키는 지"에 대해 다뤘다.
Bosses with no obvious qualification—the managing director of Air India, for example, is a rail and tourism civil servant—are overseen by pliant boards.
예를 들어, Air India의 상무가 교통관광부 공무원인 것처럼 분명한 자격이 없는 임원진들은 얌전한 이사회의 감독을 받는다.
Better not to make decisions than to make one which could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uditors who oversee public spending.
공공재정을 감독하는 감사들의 주의를 끌 수 있는 것보다는 의사결정을 안 하는 것이 낫다.
Pay scales borrowed from the bureaucracy mean chief executives get paid around $50,000, pushing the brightest sparks to the private sector.
관료체제로부터 빌려온 임금체계로 임원들은 약 5만 달러를 받게되는데, 이는 똑똑한 이들을 민간영역으로 내몰고 있다.
Replacing them is hard: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in Asian Age, a newspaper, as many as 42 PSUs are lacking bosses after a change in the method to appoint managers in June 2016 stalled any new hires.
그들을 대체하는 것은 어렵다, Asian Age 신문의 최근 기사에 따르면, 42개의 PSU들이 2016년 6월 관리자를 임명하는 방법이 변경되어 신규 고용이 지연되면서 관리자가 부족한 현상을 겪고 있다.
Even the 47 non-bank, listed PSUs, where the government owns a majority and calls the shots, are run for motives that include profit but much else besides.
정부가 대주주이고 지휘하는 47개의 비 은행이자, 상장된 PSU들조차 이익 많이 아닌 그외 훨씬 많은 다른 것들을 포함하는 이유에 의해 운영된다.
Just under half of all jobs are earmarked for selected, disadvantaged castes; a quarter of all unskilled workers must be ex-servicemen or dependents of those killed in action.
총 일자리의 절반 정도가 선택된, 혜택받지 못한 카트에 배정된다; 미숙력 작업자의 1/4은 반드시 퇴역군인 혹은 전사자의 부양가족이어야 한다.
Little thought is given as to whether such aims, noble as they might be, are best met through maintaining largely unprofitable corporate structures.
이러한 목적이, 고결한 만큼, 크게 적자를 내는 기업 구조를 통해서 달성되느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PSUs are made to foot the bill for government programmes that are uneconomical. PSU들은 비경제적인 정부 프로그램의 비용을 부담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Coal India and NTPC, a power utility, have been asked to revive two defunct fertiliser plants, in Jharkhand and Uttar Pradesh, for example, largely on the grounds that they have spare cash.
전력공급회사인, Coal India와 NTPC는 주로 현금을 아꼇다는 이유로 Jharkhand와 Uttar Pradesh에, 현존하지 않는 두개의 비료 공장을 되살리도록 요청받았다.
The government also wants state-owned enterprises to take over running companies that have defaulted on loans made by all those state-owned banks (the default was often for good reason).
정부는 또한 모든 국영 은행에서 만들어진 대출에 대한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진 회사들의 운영을 국영기업이 맡기를 원한다.(채무불이행은 주로 정당한 이유 때문이었다.)
Many had expected the era of PSUs to be drawing to a close by now.
많은 이들이 지금까지 PSU들이 폐쇄에 가까워질 시기를 기대했다.
A few were privatised in the early 2000s by a right-wing government which—not coincidentally, some think—was booted out of office soon afterwards.
일부는 2000년대 초에 우파 정권에 의해 민영화 되었고, 어떤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우연히도, 그들은 이후 쫓겨났다.
Narendra Modi, while running for prime minister in 2014 declared: “I believe that government has no business to be in business.”
2014년에 총리 선거에 출마하면서 Narendra Modi는 이렇게 선언했다. "나는 정부가 사업적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Sell-offs have long been mooted but have yet to materialise.
매각이 오랫동안 고려됐지만, 현실화된 적은 없다.
Vaunted “disinvestment” of PSUs has so far consisted of listing them, or selling stakes in those already listed, while making sure the government keeps majority ownership.
과시된 PSU "투자 회수"는 지금까지 정부가 대주주의 지분을 유지하면서, 상장시키거나 다른 상장회사에게 지분을 매각하는 것으로 구성됐다.
Neither achieves much.
둘 중 어떤 쪽도 많은 자료가 있지는 않다.
Around 462bn rupees was raised in this way in 2016-17, which was below the target that had been set but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vious years.
약 4620억 루피가 2016-17에 모아졌는데, 이는 목표치를 하회하지만, 작년보다는 증가추세이다.
Many stake sales happen in the last few weeks of the financial year when the government is desperate to balance its books.
많은 지분 매각이 정부가 필사적으로 결산을 수행하는 회계년도 마지막 몇주 동안 이뤄진다.
PSU assets are sold to other PSUs, or to state-owned pension funds, doing little to shrink the overall size of the state.
PSU의 자산은 다른 PSU들이나 국영 연기금에 매각되므로, 국가 전체를 줄이는데는 거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Ominously, two years into Mr Modi’s mandate, in April 2016 the so-called Department of Disinvestment was rechristened Department of Investment and Public Asset Management.
불길하게도, Mr Modi 임기 2년 째인, 2016년 4월에 이른바 투자회수부는 투자 및 공공자산 관리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Some suggest Mr Modi is lukewarm about flogging PSUs.
일부는 Mr Modi가 PSU 매각에 미온적이라고 평가한다.
As chief minister of Gujarat for over a decade before his rise to national office, he turned around a slew of state-owned firms there, and is said to believe the same can be done at national level.
정부에 입각하기 전 Gujurat의 지사로 십수년을 지내면서, 많은 수의 국영기업을 정상화시켰고, 이제 국가 레벌에서 동일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Job creation is perceived as one of the weakest spots in an otherwise solid economic record: privatising PSUs now, only to see them fire lots of workers in the run-up to elections in May 2019, is a non-starter.
일자리 창출은 견고할 수 있었던 경제성적표에 약점 중 하나이다: PSU를 지금 민영화하는 것은 2019년 5월에 있을 선거 준비에 있어 많은 노동자들을 해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현가능할 수 없다.
Some progress has been made.
몇가지 진전은 있었다.
Reformers hope that more minority stakes in companies being listed may force improvements in corporate governance.
개혁론자는 상장된 이들 회사의 소수지분 확대하는 것으로 기업지배구조를 개선 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About a dozen “sick” PSUs, a euphemism the authorities use for often deeply dysfunctional firms, are in the process of being closed down.
약 수십 개의 "아픈" PSU들은 (심각한 기능장애를 가진 회사들을 완곡하게 부르는 표현으로), 폐쇄의 절차를 밟고 있다.
Many of them have had years or decades of no production (but plenty of workers still clocking in and out of factories, if only to pick up paychecks).
이들 중 많은 수가 수년 혹은 수십년동안 생산을 중단했었고, (하지만 많은 노동자들이 임금을 받기 위해 여전히 출퇴근 도장을 찍는다.)
Hindustan Photo Films, based in Tamil Nadu, whose black-and-white production equipment has been obsolete for decades, and Hindustan Cables, based in West Bengal, which stopped making said cables in 2003, are no more.
Tamil Nadu에 있는 Hindustan Photo Films의 흑백사진 생산라인은 이미 몇십년간 구식인 상태로 유지고 있고, West Bengal에 있는 Hindustan Cable은 2003년에 케이블 생산을 중단했고,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있다.
Air India is now openly discussed as a sell-off candidate.
Air India는 현재 공개적으로 매각 후보로 논의도 있다.
But moving from discussion to divestment has proved hard.
하지만 논의에서 투자회수로 결론이 나는 것이 쉬운 것은 안디ㅏ.
"Privatisation is the art of the possible," says Arun Jaitley, the finance minister.
"민영화는 가능성의 예술이다." 재무부 장권 Arun Jaiteley는 말한다.
Ministries protect the PSUs on their patch, which give their bureaucrats considerable power of patronage, for example when dishing out contracts.
각 부처는 자기 담당의 PSU들을 보호하는데, 이는 공무원들에게 예를 들어 계약을 나눠주는 것처럼 상당한 후원의 영향력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Labour unions that are affiliated with political parties are intent on stymying reforms. Extracting bureaucrats from India’s boardrooms is likely to prove a slow process.
정당과 관계된 노조는 개혁을 좌절시키는데 온 힘을 다하고 있다. 인도의 이사회에서 공문원들을 뽑는 것은 이러한 진전을 더디게 하는 증명일 가능성이 크다.
Air India (1970년대 객실 색깔로 신상 보잉 797 드림라이너를 진흙 묻은 것 같이 보이게 만들었던 유일한 항공사) 2007년 이래로 계속해서 적자를 냈고, 민간 부문 경쟁업체인, Jet Airways가 항공연료 가격 폭락으로 엄청난 부를 쌓을 수 있었 던 때에도 영업이익을 겨우 냈었다.
Mostly, PSUs have drifted from monopolist to bit-player.
대체로 PSU는 독점기업에서 조역으로 바뀌어 왔다.
Air India is a fading force.
Air India는 약해지는 힘이다.
Few Indians willingly use PSU telecoms providers.
PSU 통신사를 자진해서 이용하는 인도사람은 거의 없다.
Public ports have gone from handling nearly three-quarters of stuff being shipped in and out of India less than a decade ago to just over half now.
공공 항구들은 인도 전체 물동의 거의 3/4을 다루던 상태에서 이제 가까스로 1/2을 담당한다.
HLL Lifecare went from being a monopolist condom-maker to an also-ran, hence its more recent foray into vibrating gizmos.
HLL Lifecare는 독점 콘돔생산기업에서 낙오됐고, 최근에는 자위기구 생산으로 진출하기도 했다.
State-owned banks are in a league of their own in terms of dominating their sector: they form a network of 21 listed but government-controlled entities that account for 70% of India’s banking system by assets.
국영기업은 해당 산업에 대한 지배력 측면에서 각기 독보적이다: 자산기준 인도의 은행 시스템의 70%를 차지하는 상장되었지만, 정부가 통제하는 21개 기업의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Many of their loans are unlikely to be repaid, a state of affairs that private lenders usually manage to avoid.
국영기업의 대출 중 많은 부분이 상환가능성이 적은데, 민간 기업의 대출이 가까스로 이러한 상황은 피한다.
The latter are growing at a rapid clip: they are responsible for nearly all the growth in the financial system.
후자는 급격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그들은 금융시스템에서 거의 모든 성장에 대해 책임이 있다.
In the early part of 2016, the market capitalisation of all 21 listed public-sector banks was on a par with that of a single private rival, HDFC Bank, set up back in 1995.
2016년 상반기에는, 모든 21개의 상장된 공공섹터 은행의 시가총액이 1995년에 설립된 한 개의 민간 기업 라이벌, HDFC 은행과 동등했다.
The result is what Ruchir Sharma of Morgan Stanley, a bank, calls “privatisation by malign neglect”: the PSUs stay in state hands, but their market share (and their value) seeps steadily to nimble newcomers.
이 결과는 모건스탠리 은행의 Ruchir Sharma가 "악성 태만으로 인한 민영화"라고 부르는 것이다: PSU들은 국가의 수중에 있지만, 그들의 시장점유율은 민첩한 신규시장진입자에게 스며든다.
Soft loans, subsidies and bail-outs keep them afloat, protecting unproductive jobs at vast expense.
소프트 론, 보조금, 구제금융은 비생산적인 일자리를 큰 비용으로 보호하면서 국영기업들이 도산 당할 것을 막는다 .
Such neglect has resulted in pockets of acute financial distress.
이러한 태만이 극심한 재정고에 여유를 안겨주는 결과를 초래해왔다.
Nearly two dozen PSUs have loans greater than their total assets; 84 generate too little operating profit to cover the interest on their borrowings.
거의 20개 정도의 PSU들이 자신의 자산 총액보다 더 많은 대출을 지니고 있다; 84개는 이자상환하기에는 부족한 영업이익을 낸다.
And PSUs owned by India’s 29 state governments, of which there are thought to be over 1,000, are if anything in worse shape.
그리고 인도의 29개 주 정부가 소유한 PSU들 중 1000개 이상이 오히려 상황이 더 심각하다.
A recent bail-out of local power distribution companies, which traditionally have overlooked non-payment of bills by customers whose votes politicians craved, has resulted in a vast and costly debt restructuring which has weighed heavily on the public finances.
지역 배전 회사들은 정치인들이 간절히 바라는 표를 가진 고객에 의한 미납에 대해서 전통적으로 간과해 왔다. 지역 배전 회사들에 대한 구제금융 공공재정에 크게 가중을 둔 광범위하고 비싼 채무 구조조정을 초래했다.
Poor performance by PSUs is hardly surprising given the way in which they are managed.
PSU의 형편없는 실적은 그들이 관리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보면 놀라울 일은 아니다.
A report from the authorities in 2011 described how “over-governance promotes conservative, cautious and risk-averse organisational culture, with procedures being paramount and outcomes secondary.”
2011년 당국의 보고서는 어떻게 "과잉지배(over-governance)는 절차가 가장 중요해지고 결과가 부차적이되는 보수적이고, 조심스럽고 위험회피적인 조직문화를 촉진시키는 지"에 대해 다뤘다.
Bosses with no obvious qualification—the managing director of Air India, for example, is a rail and tourism civil servant—are overseen by pliant boards.
예를 들어, Air India의 상무가 교통관광부 공무원인 것처럼 분명한 자격이 없는 임원진들은 얌전한 이사회의 감독을 받는다.
Better not to make decisions than to make one which could attract the attention of the auditors who oversee public spending.
공공재정을 감독하는 감사들의 주의를 끌 수 있는 것보다는 의사결정을 안 하는 것이 낫다.
Pay scales borrowed from the bureaucracy mean chief executives get paid around $50,000, pushing the brightest sparks to the private sector.
관료체제로부터 빌려온 임금체계로 임원들은 약 5만 달러를 받게되는데, 이는 똑똑한 이들을 민간영역으로 내몰고 있다.
Replacing them is hard: according to a recent report in Asian Age, a newspaper, as many as 42 PSUs are lacking bosses after a change in the method to appoint managers in June 2016 stalled any new hires.
그들을 대체하는 것은 어렵다, Asian Age 신문의 최근 기사에 따르면, 42개의 PSU들이 2016년 6월 관리자를 임명하는 방법이 변경되어 신규 고용이 지연되면서 관리자가 부족한 현상을 겪고 있다.
Even the 47 non-bank, listed PSUs, where the government owns a majority and calls the shots, are run for motives that include profit but much else besides.
정부가 대주주이고 지휘하는 47개의 비 은행이자, 상장된 PSU들조차 이익 많이 아닌 그외 훨씬 많은 다른 것들을 포함하는 이유에 의해 운영된다.
Just under half of all jobs are earmarked for selected, disadvantaged castes; a quarter of all unskilled workers must be ex-servicemen or dependents of those killed in action.
총 일자리의 절반 정도가 선택된, 혜택받지 못한 카트에 배정된다; 미숙력 작업자의 1/4은 반드시 퇴역군인 혹은 전사자의 부양가족이어야 한다.
Little thought is given as to whether such aims, noble as they might be, are best met through maintaining largely unprofitable corporate structures.
이러한 목적이, 고결한 만큼, 크게 적자를 내는 기업 구조를 통해서 달성되느지에 대해서는 고민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PSUs are made to foot the bill for government programmes that are uneconomical. PSU들은 비경제적인 정부 프로그램의 비용을 부담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Coal India and NTPC, a power utility, have been asked to revive two defunct fertiliser plants, in Jharkhand and Uttar Pradesh, for example, largely on the grounds that they have spare cash.
전력공급회사인, Coal India와 NTPC는 주로 현금을 아꼇다는 이유로 Jharkhand와 Uttar Pradesh에, 현존하지 않는 두개의 비료 공장을 되살리도록 요청받았다.
The government also wants state-owned enterprises to take over running companies that have defaulted on loans made by all those state-owned banks (the default was often for good reason).
정부는 또한 모든 국영 은행에서 만들어진 대출에 대한 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진 회사들의 운영을 국영기업이 맡기를 원한다.(채무불이행은 주로 정당한 이유 때문이었다.)
Many had expected the era of PSUs to be drawing to a close by now.
많은 이들이 지금까지 PSU들이 폐쇄에 가까워질 시기를 기대했다.
A few were privatised in the early 2000s by a right-wing government which—not coincidentally, some think—was booted out of office soon afterwards.
일부는 2000년대 초에 우파 정권에 의해 민영화 되었고, 어떤 사람들이 생각하듯이, 우연히도, 그들은 이후 쫓겨났다.
Narendra Modi, while running for prime minister in 2014 declared: “I believe that government has no business to be in business.”
2014년에 총리 선거에 출마하면서 Narendra Modi는 이렇게 선언했다. "나는 정부가 사업적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Sell-offs have long been mooted but have yet to materialise.
매각이 오랫동안 고려됐지만, 현실화된 적은 없다.
Vaunted “disinvestment” of PSUs has so far consisted of listing them, or selling stakes in those already listed, while making sure the government keeps majority ownership.
과시된 PSU "투자 회수"는 지금까지 정부가 대주주의 지분을 유지하면서, 상장시키거나 다른 상장회사에게 지분을 매각하는 것으로 구성됐다.
Neither achieves much.
둘 중 어떤 쪽도 많은 자료가 있지는 않다.
Around 462bn rupees was raised in this way in 2016-17, which was below the target that had been set but a significant increase from previous years.
약 4620억 루피가 2016-17에 모아졌는데, 이는 목표치를 하회하지만, 작년보다는 증가추세이다.
Many stake sales happen in the last few weeks of the financial year when the government is desperate to balance its books.
많은 지분 매각이 정부가 필사적으로 결산을 수행하는 회계년도 마지막 몇주 동안 이뤄진다.
PSU assets are sold to other PSUs, or to state-owned pension funds, doing little to shrink the overall size of the state.
PSU의 자산은 다른 PSU들이나 국영 연기금에 매각되므로, 국가 전체를 줄이는데는 거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Ominously, two years into Mr Modi’s mandate, in April 2016 the so-called Department of Disinvestment was rechristened Department of Investment and Public Asset Management.
불길하게도, Mr Modi 임기 2년 째인, 2016년 4월에 이른바 투자회수부는 투자 및 공공자산 관리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Some suggest Mr Modi is lukewarm about flogging PSUs.
일부는 Mr Modi가 PSU 매각에 미온적이라고 평가한다.
As chief minister of Gujarat for over a decade before his rise to national office, he turned around a slew of state-owned firms there, and is said to believe the same can be done at national level.
정부에 입각하기 전 Gujurat의 지사로 십수년을 지내면서, 많은 수의 국영기업을 정상화시켰고, 이제 국가 레벌에서 동일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Job creation is perceived as one of the weakest spots in an otherwise solid economic record: privatising PSUs now, only to see them fire lots of workers in the run-up to elections in May 2019, is a non-starter.
일자리 창출은 견고할 수 있었던 경제성적표에 약점 중 하나이다: PSU를 지금 민영화하는 것은 2019년 5월에 있을 선거 준비에 있어 많은 노동자들을 해고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현가능할 수 없다.
Some progress has been made.
몇가지 진전은 있었다.
Reformers hope that more minority stakes in companies being listed may force improvements in corporate governance.
개혁론자는 상장된 이들 회사의 소수지분 확대하는 것으로 기업지배구조를 개선 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About a dozen “sick” PSUs, a euphemism the authorities use for often deeply dysfunctional firms, are in the process of being closed down.
약 수십 개의 "아픈" PSU들은 (심각한 기능장애를 가진 회사들을 완곡하게 부르는 표현으로), 폐쇄의 절차를 밟고 있다.
Many of them have had years or decades of no production (but plenty of workers still clocking in and out of factories, if only to pick up paychecks).
이들 중 많은 수가 수년 혹은 수십년동안 생산을 중단했었고, (하지만 많은 노동자들이 임금을 받기 위해 여전히 출퇴근 도장을 찍는다.)
Hindustan Photo Films, based in Tamil Nadu, whose black-and-white production equipment has been obsolete for decades, and Hindustan Cables, based in West Bengal, which stopped making said cables in 2003, are no more.
Tamil Nadu에 있는 Hindustan Photo Films의 흑백사진 생산라인은 이미 몇십년간 구식인 상태로 유지고 있고, West Bengal에 있는 Hindustan Cable은 2003년에 케이블 생산을 중단했고,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있다.
Air India is now openly discussed as a sell-off candidate.
Air India는 현재 공개적으로 매각 후보로 논의도 있다.
But moving from discussion to divestment has proved hard.
하지만 논의에서 투자회수로 결론이 나는 것이 쉬운 것은 안디ㅏ.
"Privatisation is the art of the possible," says Arun Jaitley, the finance minister.
"민영화는 가능성의 예술이다." 재무부 장권 Arun Jaiteley는 말한다.
Ministries protect the PSUs on their patch, which give their bureaucrats considerable power of patronage, for example when dishing out contracts.
각 부처는 자기 담당의 PSU들을 보호하는데, 이는 공무원들에게 예를 들어 계약을 나눠주는 것처럼 상당한 후원의 영향력을 가져다 주기 때문이다.
Labour unions that are affiliated with political parties are intent on stymying reforms. Extracting bureaucrats from India’s boardrooms is likely to prove a slow process.
정당과 관계된 노조는 개혁을 좌절시키는데 온 힘을 다하고 있다. 인도의 이사회에서 공문원들을 뽑는 것은 이러한 진전을 더디게 하는 증명일 가능성이 크다.
The contents above did not acquire any official authorities from The Economist.
All rights reserved to The Economist.
All rights reserved to The Economist.
http://www.economist.com/news/business/21722860-privatisation-and-politics-sit-poorly-together-most-indias-state-owned-firms-are-ripe
Comments
Post a Comment